분선충증

(요충 감염)

작성자:Chelsea Marie, PhD, University of Virginia;
William A. Petri, Jr, MD, PhD, University of Virginia School of Medicine
검토자Christina A. Muzny, MD, MSPH, Division of Infectious Diseases, University of Alabama at Birmingham
검토/개정일 수정 2025년 1월 7일
v14458970_ko
분선충증은 회충(선충)인 분선충으로 인한 감염입니다.

주제 참고 자료

  • 보통, 사람들이 맨발로 오염된 흙 위를 걸을 때 유충이 피부에 침투하여 감염됩니다.

  • 이 감염이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증상을 나타내지 않지만, 일부는 발진, 기침, 쌕쌕거림, 복통, 설사, 체중 감소를 겪습니다.

  • 드물게, 질환(암 등)으로 인해 면역체계가 약화된 이들이나 면역체계를 억제하는 약물을 투여 중인 이들에게 중증의 생명을 위협하는 감염이 발생합니다.

  • 의사들은 대변 검체 내의 유충을 확인하거나 혈액 검체 내 분선충에 대한 항체를 검출함으로써, 그리고 때때로 가래 검체에서 유충을 검사하고 흉부 X레이를 촬영함으로써 감염을 진단합니다.

  • 환자는 기생충 감염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로 치료받습니다.

연충은 인간과 동물을 감염시킬 수 있는 기생충입니다. 연충에는 흡충, 촌충(조충) 및 회충(선충)의 3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분선충은 회충입니다.

분선충증은 오염된 토양을 통해 전파되는 주요 감염 중 하나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6억 1,400만 명이 감염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분선충증은 아열대 및 열대 등의 따뜻하고 습한 지역과 미국 남부의 시골 지역에서 발생합니다.

분선충은 때로는 요충(threadworm)으로 불립니다.

(또한 기생충 감염 개요 참조)

분선충증의 전파

감염 주기는 감염자의 소장에 서식하는 성체 분선충으로 시작됩니다. 암컷은 알을 낳고, 이 알이 부화하여 유충을 방출합니다. 이러한 초기 단계의 유충은 대부분 사람의 대변을 통해 흙으로 배설됩니다. 흙에서 며칠을 보낸 후, 유충은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형태(필라리아형 유충이라고 함)로 성장합니다. 이 유충이 사람의 맨 살과 접촉하게 되면 피부를 침투합니다. 유충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소장으로 이동하고, 소장에서 약 2주 내에 성체로 성숙됩니다.

사람과 접촉하지 못한 흙 속의 유충은 성충으로 성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성충은 유충이 사람과 접촉하기 전 몇 세대 동안 번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성충을 자유 생활 성충이라고 합니다.

자가감염

장의 일부 필라리아형 유충은 다음 2가지 방법 중 하나로 사람을 재감염시킬 수 있습니다.

  • 장 벽을 침투하여 사람의 혈류에 직접 재침입할 수 있습니다.

  • 대변으로 배출되어 항문 주변 피부나 엉덩이 또는 허벅지 피부를 침투하여 사람의 신체에 재침입할 수 있습니다.

두 경우 모두, 필라리아형 유충은 혈류를 통해 폐와 인후로 이동하고 다시 장으로 들어가 또 다른 감염을 일으킵니다. 이 과정을 자가감염(자기 감염)이라고 합니다.

과다감염 증후군 및 파종성 분선충증

드물게, 과다감염 증후군이라는 중증 감염이 새로 분선충에 감염된 사람 또는 재감염되었지만 처음에 증상이 없었던 사람에게서 발생합니다.

과다감염 증후군은 정상적인 분선충 수명 주기에 관여하는 기관(예: 장, 폐, 피부)에 영향을 미치며, 일반적으로 분선충의 정상 수명 주기에 속하지 않는 기관(예: 간, 심장, 뇌 및 척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파종성 분선충증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분선충 유충은 소화관으로부터 박테리아를 옮길 수 있습니다. 유충이 신체를 이동할 때, 이 박테리아는 혈류, 뇌와 척수, 폐 또는 신체 다른 부위에서 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과다감염은 일반적으로 질환(예: 암)으로 인해 또는 면역체계를 억제하는 약물(예: 프레드니손) 또는 장기 또는 골수 이식 거부 반응을 예방하는 데 사용되는 약물을 투여하고 있기 때문에 면역체계가 약화된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그러나 과다감염과 전파는 진행성 HIV 감염(AIDS라고도 함)으로 인해 면역체계가 약화된 사람들에서는 덜 일반적입니다.

진단되지 않은 분선충증이 있는 사람이 다른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투여하는 경우 과다감염 또는 파종성 분선충증에 걸릴 수 있습니다.

분선충증의 증상

대부분의 분선충증 환자들은 증상을 보이지 않습니다. 증상이 발생할 때는 보통 피부, 폐, 소화관 또는 3곳 모두를 침범합니다.

급성 감염이 있는 사람들은 유충이 피부를 통해 이동하면서 이에 의해 유발되는 붉고 가려운 발진이 생깁니다. 발진은 유충이 피부에 침투한 부위에서 발생합니다. 유충이 폐와 기관지(기관)를 통해 이동할 때 기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소화관에 유충과 성충이 있는 사람은 복통, 설사, 식욕 부진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오랫동안 분선충증을 앓은 사람들은 증상이 없거나 발진, 기침, 쌕쌕거림, 복통, 설사, 변비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영양분을 증상적으로 흡수하지 못하여 체중 감소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과다감염 증후군 및 파종성 분선충증

과다감염 증후군 또는 파종성 분선충증 환자들은 종종 폐와 소화관과 관련된 중증의 증상을 경험합니다. 폐 증상에는 중증의 숨가쁨, 객혈, 호흡 부전 등이 있습니다. 소화관 증상에는 장 폐색, 출혈, 중증의 영양분 흡수 문제(흡수장애) 등이 있습니다.

뇌와 척수를 덮는 조직 염증(수막염), 뇌 농양 또는 간염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중대한 혈액 감염(세균혈증) 또는 복강 감염(복막염)과 같은 박테리아 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과다감염 증후군과 파종성 분선충증은 면역체계가 약화된 사람들의 경우 치료를 받는 경우에도 종종 치명적입니다.

분선충증의 진단

  • 대변 검체 검사

  • 과다감염 증후군과 파종성 분선충증의 경우, 대변, 가래(담) 검체 검사, 흉부 X-레이

  • 분선충에 대한 항체를 검출하는 혈액 검사

의사들은 때로는 현미경으로 대변 검체를 검사할 때 분선충 유충을 볼 수 있습니다. 종종, 의사는 많은 검체를 검사해야 합니다.

의사들은 구강을 통해 소장으로 유연한 관찰 튜브(내시경)을 삽입하여 소장을 관찰하고 조직 검체를 채취할 수 있습니다. 얇은 튜브를 내시경으로 밀어 넣어 조직 검체를 흡입하는 데 사용합니다.

의사가 과다감염 증후군이나 파종성 분선충증을 의심하는 경우, 유충이 있는지 가래 검체를 검사하고 폐 감염의 증거를 찾기 위해 흉부 X-레이를 찍기도 합니다.

의사는 분선충에 대한 항체를 확인하는 혈액 검사도 실시합니다. (항체는 기생충에 의한 감염을 포함하여 감염에 대해 방어하기 위해 면역체계가 생성하는 단백질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검사는 새로운 감염과 오래된 감염 또는 분선충 감염과 다른 회충 감염을 구분할 수 없습니다.

호산구증가증은 혈액 검사에서 흔하게 확인되는 결과입니다. 호산구증가증은 알레르기 반응, 천식, 기생충 감염(연충)에 대한 신체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질병과 싸우는 백혈구 중 하나인 정상적인 호산구 수보다 많은 상태입니다.

의사들은 분선충에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의 대변을 검사하고 혈액을 검사하여 분선충증이 있는지 선별검사할 수 있습니다.

분선충증 치료

  • 기생충 감염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약물(구충제)

분선충증에 걸리는 모든 사람들은 치료를 받습니다.

대부분의 분선충증 사례의 경우, 의사들은 이버멕틴 또는 대안으로 알벤다졸을 투여합니다. 이러한 약물은 구충제로 알려져 있으며 경구로 복용합니다.

이버멕틴알벤다졸보다 감염을 치유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분선충증 환자가 로아사상충이라고 하는 회충이 전파된 아프리카 지역에 거주했거나 방문한 경우, 이버멕틴로아사상충 감염(로아사상충증)과 분선충증을 동시에 앓고 있는 환자들에서 중대한 뇌 염증(뇌염)을 야기할 수 있기에 의사들은 이버멕틴을 투여하기 전 로아사상충증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과다감염 증후군 또는 파종성 분선충증이 있는 사람의 경우, 의사들은 2주 동안 가래와 대변 검체에서 유충이 보이지 않을 때까지 이버멕틴을 투여합니다. 과다감염 증후군과 파종성 분선충증은 생명을 위협하는 의학적 응급상황이므로, 이버멕틴을 이용한 치료를 즉시 시작합니다.

면역체계가 약화된 사람의 경우, 약물의 반복 투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항생제는 분선충증의 합병증일 수 있는 박테리아 감염을 치료하는 데 사용됩니다.

감염이 제거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의사들은 대변 검체에 유충이 있는지 검사합니다. 치료 후에도 대변에 분선충 유충이 여전히 존재하는 경우, 다시 치료합니다.

분선충증 예방

분선충증 예방은 다음을 수반합니다.

  • 위생적인 화장실 시설을 사용합니다.

  • 분선충증이 흔한 지역에서 피부가 흙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합니다(예, 땅에 앉을 때는 신발을 신고 방수포나 기타 차단막을 사용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