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선사상충증(강변 실명증)

작성자:Chelsea Marie, PhD, University of Virginia;
William A. Petri, Jr, MD, PhD, University of Virginia School of Medicine
검토자Christina A. Muzny, MD, MSPH, Division of Infectious Diseases, University of Alabama at Birmingham
검토/개정일 수정 2025년 1월 7일
v787033_ko
회선사상충증은 회충(선충)인 회선사상충에 의한 감염입니다.

주제 참고 자료

  • 감염은 감염된 암컷 흑파리에 의해 사람들에게 전파됩니다.

  • 감염은 단지 강한 가려움만 유발할 수도 있지만 때때로 발진, 림프절 부기, 시력 손상 또는 완전 실명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 일반적으로 의사들은 피부 검체에서 미숙한 형태의 사상충을 확인하여 감염 여부를 진단합니다.

  • 회선사상충증이 증상을 야기하는 경우, 치료를 위해 이버멕틴이라는 기생충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약물을 1회 투여합니다.

  • 회선사상충증이 흔한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일년에 한 두 차례 투여하는 이버멕틴은 감염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연충은 인간과 동물을 감염시킬 수 있는 기생충입니다. 연충에는 흡충, 촌충(조충) 및 회충(선충)의 3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회선사상충사상충이라는 회충의 일종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약 2,100만 명이 회선사상충증에 감염되어 있습니다. 감염된 사람 중 약 1,460만 명은 피부 질환이 있으며, 115만 명은 시력 문제 또는 실명을 경험합니다. 회선사상충증은 전 세계에서 감염성 실명을 일으키는 두 번째 주요 원인입니다(트라코마라고 하는 눈 감염 다음).

회선사상충증은 열대 및 아프리카 남부 지역(사하라 사막 이남)에서 가장 흔히 발생합니다. 이는 간혹 예멘, 베네수엘라와 브라질 국경을 따라 남미의 작은 전파 지역에서 발생합니다. 콜롬비아, 에콰도르, 멕시코, 과테말라가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해 회선사상충증이 없는 지역으로 선포되었습니다.

빠르게 흐르는 계곡 또는 강 근처에서 거주하거나 일하는 이 지역의 사람들에서 감염 가능성이 가장 높습니다. 선교사, 자원봉사자 또는 현장 연구자와 같은 이 지역의 장기 여행자들 또한 위험합니다.

(또한 기생충 감염 개요 참조)

알고 계십니까?

  • 회선사상충증 또는 하천 실명은 전 세계에서 실명을 일으키는 두 번째 주요 감염성 원인입니다.

회선사상충증의 전파

회선사상충증은 빠른 속도의 물줄기를 따라 번식하는 암컷 흑파리에게 물려서 전파됩니다(이에 따라 “강변 실명증”이란 용어가 사용됨).

감염 주기는 감염된 흑파리가 사람을 물고 피부에 유충을 남길 때 시작됩니다. 유충은 물린 상처를 통해 사람의 신체에 침입하여 피부 아래 조직으로 이동하여 덩이(결절)를 형성합니다. 결절에서 유충은 12~18개월 내에 성충으로 성숙합니다. 암컷 성충은 이 결절 내에서 최대 15년까지 살 수 있습니다. 성숙한 암컷 성충은 짝짓기 후 알을 낳으며 이 알은 미성숙한 유충(마이크로필라리아)으로 성장합니다. 마이크로필라리아는 주로 피부를 통해 이동하여 눈을 침범합니다. 감염자가 흑파리에 물리고 흑파리가 마이크로필라리아를 삼켰을 때 감염이 확산됩니다.

일반적으로 감염에 의해 증상이 발생하려면 수 차례 물려야 합니다.

회선사상충증의 증상

회선사상충증 증상은 마이크로필라리아가 죽을 때 발현됩니다.

피부에서 마이크로필라리아는 죽으면서 강한 가려움을 유발하며 이 가려움만이 유일한 증상일 수 있습니다. 붉은 발진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피부가 두꺼워지거나 거칠어지거나 주름질 수 있습니다. 이는 탄력성을 잃고, 군데군데 발생하는 발진 부위에 색소 침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심각한 경우, 하복부와 허벅지 윗부분으로 늘어진 긴 피부 주름이 생길 수 있습니다(“늘어진 서혜부”). 성기 주변 부위의 림프절을 비롯한 각종 림프절에 염증이 생기고 부어 오를 수도 있습니다. 성충이 든 덩어리(결절)가 생기고 피하에서 보거나 촉진할 수 있습니다. 이 덩어리는 보통 증상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시력에 대한 영향은 경미한 손상(흐림)에서 완전 실명까지 다양합니다. 안구는 염증이 생기고 충혈되어 보일 수 있습니다. 밝은 빛에 노출되면 고통이 따를 수도 있습니다. 이 감염은 치료받지 않는 경우 각막이 완전 불투명해지거나 흉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실명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홍채, 눈동자 및 망막을 포함한 안구 내 다른 구조체도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시신경은 염증이 생겨 퇴화될 수도 있습니다.

회선사상충증으로 인한 눈 흉터형성
상세정보 숨기기
치료를 받지 않는 경우, 회선사상충증은 눈의 각막에 흉터 조직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그 결과, 각막이 불투명해지고(흰색처럼 보임) 시력을 상실하게 될 수 있습니다.
©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회선사상충증의 진단

  • 피부 검체 검사

  • 눈 검사

회선사상충증을 진단하기 위해, 의사는 일반적으로 피부 검체를 채취하여 마이크로필라리아를 검사합니다.

의사들은 틈새등을 사용하여 눈에 마이크로필라리아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감염 증거를 찾기 위한 혈액 검사를 실시할 수 있으나, 이 검사는 항상 믿을 만하거나 이용 가능하지 않습니다.

결절을 제거하여 성충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도 있지만, 이 방법은 거의 필요하지 않습니다.

회선사상충증의 치료

  • 이버멕틴

  • 때로는 독시사이클린

회선사상충증을 치료하기 위해 의사는 이버멕틴을 처방합니다. 이 약물은 구충제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버멕틴은 1회 경구 복용하며, 증상이 사라질 때까지 6~12개월마다 반복적으로 복용합니다.

이버멕틴은 피부와 눈에서 마이크로필라리아의 수를 감소시키고, 몇 달 동안 성충에 의한 마이크로필라리아 생성을 감소시킵니다. 이버멕틴은 성체를 죽이지 못하지만, 반복적으로 복용하면 그 번식력을 떨어뜨립니다.

회선사상충증이 있는 사람이 로아사상충이라는 또 다른 사상충이 흔한 아프리카 지역에서 거주하는 경우, 이버멕틴로아사상충증과 회선사상충증을 동시에 앓고 있는 사람들에서 중증의 반응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의사들은 이버멕틴을 투여하기 전 로아사상충증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때때로 의사들은 회선사상충증을 치료하기 위해 항생제인 독시사이클린도 처방합니다. 이 약물은 6주 동안 경구로 복용합니다. 독시사이클린은 사상충 내에서 살고 사상충의 생존에 필수적인 박테리아를 죽입니다. 그 결과, 많은 암컷 성충들이 죽고, 다른 성충들은 보다 적은 마이크로필라리아를 생산하거나 전혀 생산하지 않습니다.

과거에는 결절을 외과적 수술로 제거했지만 이 치료법은 이버멕틴으로 대체되었습니다.

회선사상충증의 예방

다음은 흑파리에 물릴 가능성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기에, 회선사상충증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 흑파리가 창궐하는 지역을 피하기

  • 피부 보호를 해줄 수 있는 옷 입기

  • 방충제를 아낌 없이 사용하기

일년에 한두 번 투여하는 이버멕틴은 반복적으로 회선사상충에 노출되는 사람들에서 감염을 통제하는 데 도움이 되고, 이는 전파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이 지역사회 기반 예방 방식은 회선사상충증이 흔한 일부 지역에서 회선사상충증을 퇴치했습니다. 이버멕틴을 이용한 예방 치료는 감염이 남아 있는 지역에서 계속되고 있습니다.

quizzes_lightbulb_red
Test your KnowledgeTake a Qui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