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공성 홍색비강진은 손바닥과 발바닥을 포함한 피부의 비후화와 황색 변색, 붉은 융기된 돌기를 야기하는 드문 만성 피부 질환입니다. 돌기들은 함께 결합되어 사이에 정상적인 피부 부위가 있는 붉은 주황색 인설 반점(플라크)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주제 참고 자료
모공성 홍색비강진의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이 질환의 가장 일반적인 두 가지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전형적인 소아형
전형적인 성인형
전형적인 소아형 모공성 홍색비강진은 유전되고 소아기에 시작됩니다. 전형적인 성인형 모공성 홍색비강진은 유전되지 않는 것으로 보이고 성인기에 시작됩니다.
이미지 제공: 의학박사 토마스 하비프(Thomas Habif).
두 연령군들에 다른 비전형적인 형태들이 존재합니다. 일광, 인체 면역결핍 바이러스(HIV) 감염 또는 다른 감염, 경미한 외상 또는 자가면역 질환이 발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모공성 홍색비강진의 증상
모공성 홍색비강진의 증상은 일체의 신체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보통 가려운 분홍색, 붉은색 또는 붉은 오렌지색 인설 패치입니다. 피부가 비후해지고 황색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모공성 홍색비강진의 진단
모공성 홍색비강진의 치료
피부에 도포하거나(국소) 경구로 복용하거나(경구) 주사로 투여하는 약물
광선요법
모공성 홍색비강진 치료는 매우 어렵습니다. 이 질환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으나, 질환 자체는 거의 치유할 수 없습니다. 이 질환의 전형적 형태는 3년에 걸쳐 천천히 사라지나, 비전형적인 형태는 훨씬 오래 동안 지속됩니다.
인설을 감소시키기 위해, 의사들은 피부 보습제(연화제)를 제공하거나, 피부와 공기의 접촉을 차단하는 드레싱(밀봉 붕대) 아래에 젖산을 바르게 한 후 피부에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바르게 할 수 있습니다.
피부에 바르는 치료가 도움이 되지 않을 때 경구 복용 아시트레틴 또는 메토트렉세이트가 옵션입니다.
에타너셉트, 우스테키누맙, 세쿠키누맙은 주사로 투여하는 생물학적 제제입니다. 이는 또한 국소 또는 경구 요법으로 피부가 개선되지 않는 경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광선요법(자외선에 대한 노출), 비타민 A, 사이클로스포린, 마이코페놀레이트 모페틸, 아자티오프린, 경구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 같은 면역체계를 약화시키는 약물들이 또한 사용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