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이 성장하고 발달함에 따라, 때로 부모들은 아이의 눈이 서로 다른 방향을 보고 똑바로 정렬되어 있지 않음을 발견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를 사시라 하고 비교적 흔하게 나타난다. 사시는 약 3%의 아이들에게서 발생한다.
사시의 초기 징후에는 눈이 안으로 몰리는 사팔뜨기 또는 눈이 밖으로 나가는 외사시가 있다. 이는 하루 중 언제든 발생하거나, 아이가 피곤하거나 산만할 때 보다 흔하게 발생할 수 있다. 밝은 햇빛 아래에서 한쪽 눈을 찡그리는 것이 또 다른 경고 징후이며, 이는 또한 일부 사람들이 사시를 “사팔뜨기”라고 부르는 이유이기도 하다. 학령기 아동에서 사시의 중증도를 판단하는 한 가지 방법은 친구들이 이를 알아채는지 물어보는 것이다. 친구들이 알아채는 경우, 이는 보다 빈번히 발생하고 조절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부모들은 아이가 사시 징후를 보이는 경우 지체 없이 의사의 진찰을 받도록 조치해야 한다. 아이의 눈이 똑바로 정렬되어 있지 않음을 알아채는 경우 부모와 환자들이 알아야 할 몇 가지 사항들이 있다.
1. 사시에는 여러 유형이 있다
사시는 눈의 오정렬을 의미하는 의학적 용어이다. 많은 다른 유형들이 있으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사팔뜨기 또는 외사시와 같은 보다 일반적인 이름으로 이를 알고 있다. 일부 유형은 눈이 안쪽으로 향하는 경우(내사시 또는 사팔뜨기), 그리고 일부는 눈이 바깥쪽으로 향하는 경우(외사시 또는 외성 사시)로 특징짓는다. 다른 유형은 눈이 위쪽으로 향할 경우(상사시) 또는 눈이 아래쪽으로 향하는 경우(하사시)로 특징짓는다.
사시는 영아기에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 원인은 종종 연령에 따라 다르며, 가족력, 유전 질환 또는 안면 또는 두부에 대한 외상성 손상 등이 있다. 일부 아이들의 경우 과도한 원시가 종종 원인이며 갑상선 질환과 같은 전신 질환은 성인에게 있는 흔한 원인이다.
2. 사시는 약시로 이어질 수 있다
사시와 약시를 종종 혼동하는 경우가 있다. 모든 유형의 사시가 약시로 이어질 수 있다. 약시는 뇌가 눈으로부터 수령한 영상을 무시하기에 발생하는 시력 저하로, 눈의 오정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치료를 하지 않고 놔두면, 사시가 있는 소아의 약 50%가 약시로 인해 일부 시력 상실이 발생한다.
3. 사시는 저절로 사라지지 않는다
아이의 눈이 오정렬 징후를 보이는 경우, 부모는 상태가 저절로 사라지는지 기다려 보고 싶어할 수 있다. 현실은 아이가 성장함에 따라 사시가 저절로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사시는 치료받을 때까지 시력에 계속하여 영향을 미칠 것이다. 사시 징후를 보이는 경우, 즉시 의사의 진찰을 받아 올바른 치료 계획을 수립하고 잠재적인 시력 상실을 피해야 한다.
4. 사시는 가장 빈번하게 수술로 치료한다
대부분의 경우 사시 치료는 눈 근육을 약화 또는 강화시키는 외래 수술을 통해 눈을 정렬시킨다. 일부의 경우 항시 안경 착용이 권장된다. 사시의 중증도와 진행에 따라, 의사들은 먼저 시력을 같은 수준으로 만들고 발생한 약시를 교정할 수 있다. 이는 보다 약한 눈의 시력을 강화하는 눈 패치 또는 점안제를 사용하여 회복할 수 있다. 이는 약시(시력 저하)에 대한 치료로, 사시(오정렬)에 대한 치료가 아니다.
아이들의 시각계가 점점 발달하기에, 약시는 아동기에 치료해야 한다. 많은 사람들은 사시도 아동기에 치료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는 사실이 아니다. 많은 성인 환자들이 나중에 수술을 받고 성공적인 결과를 얻는다. 그러나 치료를 받는 경우에도, 사시는 평생 계속될 수 있다. 사시의 수술 치료의 성공률은 80% 이상이 될 수 있다. 소아의 약 20%는 또 다른 외과적 절차가 필요하다.
5. 모든 아동은 정기적인 시력 검사를 받아야 한다
소아는 시력을 측정하고 사시를 확인하기 위해 생후 몇 개월부터 시작하여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아야 한다. 전형적인 선별검사 방법이나 사진 선별검사 모두 효과적이다.
사시에 대한 중요한 사회적 요인이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시는 입사 면접과 사회적 상황에서 개인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기적인 시력 검사와 소아 검진 외에 부모들이 사시의 징후를 예의 주시하고, 초기에 문제를 해결해야 할 또 다른 중요한 이유이다.
사시에 대한 추가 정보는 이 주제에 대한 매뉴얼 페이지를 참조한다.
![](/_next/image?url=https%3A%2F%2Fedge.sitecorecloud.io%2Fmmanual-ssq1ci05%2Fmedia%2Fauthors%2Fmedicalauthor%2Fauthor-khazaeni-leila.jpg&w=3840&q=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