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에 의해 악화될 수 있는 고령자의 장애와 증상들

장애 또는 증상

약물

만성 신장 질환

NSAID(이부프로펜과 나프록센 등)

섬망, 치매 또는 경도 인지 손상

항정신병 약물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진정 효과(벤조디아제핀, 진정제, 에스조피클론, 잘레플론, 졸피뎀를 포함한 수면 보조제 등) 또는 콜린 억제 효과*가 있는 약물

히스타민-2 억제제(시메티딘, 파모티딘, 니자티딘, 라니티딘)

메페리딘

실신 또는 기립성 저혈압(일어설 때 급격한 혈압 저하)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예: 도네페질, 갈란타민, 리바스티그민), 말초 알파-1 차단제(독사조신, 프라조신, 테라조신 등 고혈압이나 노인 남성들의 전립선 증상 치료에 사용), 일부 삼환계 항우울제(예: 아미트리프틸린, 독세핀, 이미프라민), 항정신병약(클로르프로마진, 치오리다진, 올란자핀 등), 베타-차단제(예: 메토프로롤, 아테놀롤, 카베디롤)

낙상

진정 효과가 있는 약물(항간질약, 항정신병약, 벤조디아제핀, 에스조피클론, 잘레플론, 졸피뎀 등), 항우울제 및 아편유사제

심부전

실로스타졸

대개 고혈압 치료에 사용되는 일부(비디하이드로피리딘 계열) 칼슘 통로 차단제(딜티아젬, 베라파밀)

NSAID, COX-2 억제제, 티아졸리딘디온(피오글리타존, 로지글리타존), 드로네다론

파킨슨병

특정 항구토제(메토클로프라미드, 프로클로르페라진, 프로메타진)와 항정신병약 대부분(퀘티아핀, 클로자핀, 피마반세린 등 일부 제외)

소화성 궤양 질환 또는 위 출혈

아스피린 및 대부분의 NSAID

여성의 요실금

독사조신, 경구 또는 피부로 투여되는 에스트로겐(질에 직접 도포하지 않는), 프라조신, 테라조신

소변 정체 또는 전립선 비대에 의한 소변 증상(소변이 천천히 나옴, 소변이 조금씩 자주 나옴, 지림 등)

콜린 억제 효과가 있는 약물*, 충혈 완화제가 함유된 감기약 또는 항히스타민제와 충혈 완화제 병용

* 콜린 억제 효과에는 혼돈, 시야 흐림, 변비, 구강 건조, 실신성 어지럼증, 균형감각 상실, 소변 시작의 어려움이 포함됩니다.

COX-2 억제제 = 콕시브, NSAID =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2019년 미국 노인의학학회 Beers Criteria 업데이트 전문가 패널에서 발췌: American Geriatrics Society updated Beers Criteria® for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 use in older adults. J Am Geriatr Soc 67(4):674-694, 2019. doi:10.1111/jgs.15767

이 주제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