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 발작

작성자:Stephen Brian Sulkes, MD, Golisano Children’s Hospital at Strong, University of Rochester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검토자Alicia R. Pekarsky, MD,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Upstate Medical University, Upstate Golisano Children's Hospital
검토/개정일 수정 2023년 5월 4일
v817513_ko
짜증은 격렬한 감정 표출로, 보통 좌절에 대한 반응입니다.

  • 좌절, 피로, 및 배고픔이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 소아는 격노할 때 소리를 지르고, 울고, 몸부림치고, 바닥에서 구르고, 물건을 던지고, 발을 구를 수 있습니다.

  • 소아의 주의를 분산시켜도 격노가 멈추지 않으면 소아를 그 상황에서 벗어나게 해야 할 것입니다.

분노 발작은 소아기에 흔하게 일어납니다. 분노 발작은 보통 생후 1년이 끝날 무렵에 나타나며 2세(미운 2세)~4세에 가장 흔하고 5세 이후에는 보통 잘 나타나지 않습니다. 5세 이후에도 자주 격노하면 소아기에 걸쳐 지속될 수 있습니다.

분노 발작의 원인으로는 좌절, 피로 및 배고픔 등이 있습니다. 소아는 주목을 받거나 무언가를 얻거나 무언가 하지 않기 위해 분노 발작을 할 수도 있습니다. 실제 원인은 종종 소아의 인격, 주위 환경, 및 발달상의 정상 행동이 조합된 경우가 많지만 부모는 (부모 역할을 잘못했다고 생각하며)종종 자신에게 책임을 돌립니다. 드물게 근본적인 정신적, 신체적 또는 사회적 문제가 원인이 되며 격노가 15분 넘게 지속되거나 격노가 매일 여러 번 일어나는 경우에는 여기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분노 발작을 하는 소아는 소리지르고, 울고, 몸부림치고, 바닥에서 구르고, 발을 구르고, 물건을 던질 수 있습니다. 일부 행동은 격분한 것처럼 보이며 유해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소아의 얼굴이 빨개지고 때리거나 발로 찰 수도 있습니다. 일부 소아는 일부러 몇 초 간 호흡을 참은 후에 정상 호흡을 할 수도 있습니다(좌절로 인한 분노 발작 또는 한차례 운 후에 나타날 수 있는 호흡 정지 발작과는 다름).

(또한 소아의 행동 문제 개요 참조)

치료

  • 집중 방해

  • 상황으로부터 벗어나게 함

많은 소아는 안전한 환경이 주어진다면(예를 들어, 타임-아웃) 몇 분 후에 스스로 평온함을 찾고 분노 발작을 통제할 수 있지만, 다른 소아들은 스스로 격노를 멈추는 데 어려움을 느낍니다. 대부분의 경우 격노의 원인을 다루어봐야 더 연장될 뿐입니다. 그러므로 집중할 수 있는 다른 활동을 제공함으로써 소아의 방향을 돌려 주의를 분산시키는 것이 더 좋습니다.

소아는 신체적으로 상황에서 벗어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