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주제에서는

소아에서의 대변 실금

(유분증)

작성자:Matthew D. Di Guglielmo, MD, PhD, Sidney Kimmel Medical College at Thomas Jefferson University
검토자Alicia R. Pekarsky, MD,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Upstate Medical University, Upstate Golisano Children's Hospital
검토/개정일 수정 2024년 11월 4일
v817451_ko
대변 실금은 일반적으로 배변 훈련을 완료한 연령인 4세 이상 소아에서 변기 외의 다른 곳에 자발적 또는 비자발적으로 대변을 누는 것을 말합니다.

대변 실금은 4세 소아의 약 3%~5%에서 나타나며 연령이 올라갈수록 점점 덜 흔해집니다. 이 증상은 배변 훈련이나 학교의 시작과 함께 가장 빈번하게 일어납니다.

대변 실금은 소아와 소아의 가족 구성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주의와 치료가 필요한 상태입니다.

소아 대변 실금의 원인

다음은 대변 실금의 주요 원인입니다.

  • 변비

모순처럼 보일 수 있지만, 대변 실금은 보통 대변을 배출하는 데 지연이 있거나 어려움이 있는 변비로 인해 유발됩니다. 변비는 특히 행동(예: 변기를 사용하는 데 대한 두려움, 또는 단단한 대변을 배출하는 데 대한 두려움), 식이(예: 충분한 섬유질을 섭취하지 않음)와 같은 많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때때로 의사는 항문 이상과 같은 신체적 원인 또는 히르쉬스프룽병 또는 복강병과 같은 질병이 있는지 소아를 검사해야 합니다.

때로는, 심리적 문제가 대변 실금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원인이 무엇이든 간에, 대변이 장에 남아 있게 됨에 따라, 대장에서 물을 흡수하고 대변이 단단해집니다. 크고 단단한 대변의 통과는 고통스러울 수 있기 때문에 소아는 대변을 누려는 충동을 더욱 더 자제하게 되며, 이는 악화된 변비와 같은 악순환을 낳습니다. 소아는 단단해진 대변을 배출하지 못하여 대변이 직장에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대변 막힘). 그러고 나면, 대장의 윗부분에서 부드럽고 묽은 대변이 단단해진 대변 덩어리 주변으로 새어나가기 시작하며 대변 실금을 초래합니다.

변비가 지속되는 경우 직장과 대장의 벽이 늘어납니다. 지속적으로 늘어난 벽은 가득한 장에 대한 소아의 감각을 떨어뜨리고 근육 조절 능력을 저하시켜 대변 누출의 위험을 더욱 높입니다.

알고 계십니까?

  • 대변 실금은 보통 변비로 인해 발생합니다.

소아 대변 실금의 진단

  • 의사의 평가

의사는 소아의 병력과 신체검사에 기반하여 대변 실금을 진단합니다.

협조적인 소아에 대하여, 의사는 장갑을 낀 손가락으로 직장(대변이 항문을 통해 신체 밖으로 배출되기 전에 대변이 저장되는 곳)을 부드럽게 검사하여 대변 막힘이 있는지 판단하고 다른 질환을 배제할 수 있습니다.

때때로 진단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 의사들은 복부 x-레이와 같은 다른 검사를 실시할 수 있습니다.

드물게 의사들은 위장관, 특히 항문과 직장 내 근육이 어떻게 기능하고 있는지 평가하기 위해 압력 측정과 같은 검사를 실시합니다.

드물게, 조직 검체를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검사하는 직장 벽 생검을 실시합니다. 변비를 일으키는 신체적 원인이 발견되면 이는 대개 치료가 가능합니다.

소아 대변 실금의 치료

  • 교육 및 식단 변화

  • 변비의 경우, 의사가 처방하는 설사제

  • 행동 계획

  • 유지요법

소아와 가족을 위한 교육은 치료 계획의 매우 중요한 일부입니다. 소아와 부모는 대변 실금이 좌절스럽지만 매우 치료 가능하며, 소아에 대한 지원과 안심 수준에 따라 치료가 달라진다는 것을 이해해야 합니다. 대변 실금 치료는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으며, 소아의 상태를 악화시키기에, 소아를 비난 또는 처벌해서는 안 됩니다. 재발은 흔하지만, 또한 치료가 가능합니다.

보호자는 소아가 섭취하는 과일, 채소, 고섬유질 음식의 양을 늘리고 마시는 물의 양을 늘리도록 보장해야 합니다. 보호자는 또한 소아가 운동을 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변비로 인해 대변이 막히는 경우, 의사는 설사제(경구 복용) 또는 관장제 또는 좌약(직장에 삽입)을 처방하여 대장을 완전히 비울 수 있으며, 이는 일부 소아에게 필요한 시작 단계입니다. 일부 소아의 경우 설사제만 투여하고 관장제 또는 좌약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원인이 다른 질환인 경우, 해당 질환을 치료합니다.

장 청소가 끝나면(때때로 복부 X-레이로 확인) 소아는 규칙적인 설사제 복용 요법 및 행동 계획을 시작하여 정상적인 배변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정상적인 배변 활동이 확립된 후, 소아가 유지요법 단계를 시작합니다.

행동 계획

행동 계획은 보통 계획된 변기 앉기 시간을 포함하는데, 변기 앉기 시간에 소아는 배변을 하고 싶은 욕구를 느끼든 아니든 간에 매 식사 후 반드시 5분에서 10분 정도 변기에 앉아야 합니다. 만약 소아가 하루 중 특정한 시간대에 실수를 한다면, 그 시간이 되기 바로 전에 변기에 앉도록 합니다. (또한 배변 훈련 참조)

흔히 자그마한 보상은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변기 위에 앉을 때마다 표 위에 붙일 수 있는 스티커를 주는 방법은(배변의 생산이 없더라도) 계획을 따르고자 하는 소아의 욕구를 늘릴 수 있습니다. 소아가 변기에 앉을 때 작은 보상(예: 스티커)을 받고, 계획을 꾸준히 따를 경우 더 큰 보상(예: 공원에 가기)을 받는 것과 같은 종종 단계적 프로그램이 사용됩니다. 소아가 계획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도록 하려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보상을 바꾸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보호자가 주도하는 행동 계획이 성공적이지 않은 경우, 대변 실금이 있는 소아의 치료에 경험이 있는 행동 치료사나 소아 심리학자에게 소아를 의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전문가들은 실금과 대변으로 인한 의복 오염에 의해 좌절감을 느끼는 보호자가 소아에게 벌을 주는 일이나, 개선이 없거나 개선한 후 예전의 행동으로 퇴행한 것에 대해 실망을 보이는 일을 피해야 한다고 강력하게 권고합니다.

유지요법

정상적인 배변을 성공하고 나면 누출은 대체로 멈춥니다. 늘어난 장벽이 정상으로 돌아오고 장이 꽉 찬 느낌의 인식이 돌아오기 위해서는 부드러운 대변을 몇 달간 지속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유지 단계에서, 변을 누려는 감각이 느껴지기 전에 배변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약간의 완화제와 규칙적인 변기 앉기가 여전히 필요합니다.

이 유지요법 단계 후, 설사제의 투여량이 서서히 줄어들다 결국 중단되고 규칙적인 변기 앉기 시간의 횟수가 줄어듭니다. 대개 이때가 증상이 다시 재발하므로, 보건의료 전문가는 지속적으로 소아를 관찰해야 합니다. 배변 재훈련은 수개월에서 수년이 걸리는 긴 과정일 수 있습니다.

좀 더 심각한 경우에는 대변 실금이 정신적이거나 행동적인 문제에서 비롯된 소아를 위한 심리상담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quizzes_lightbulb_red
Test your KnowledgeTake a Qui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