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도병, 무정위운동 및 편무도병

작성자:Alex Rajput, MD, University of Saskatchewan;
Eric Noyes, MD, University of Saskatchewan
검토/개정일 2024년 2월 8일

무도병은 억제할 수 없는 갑작스러운 불수의적인 움직임이 계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신체의 한 부분에서 시작되어 갑작스럽게 예기치 않게, 그리고 종종 지속적으로 다른 부위로 이동합니다. 무도병은 일반적으로 얼굴, 입, 몸통, 팔다리에 병발합니다. 무정위운동은 느리고, 흐느적거리고, 몸부림 치는 비자발적 운동의 연속 흐름으로, 일반적으로 손과 발에 영향을 줍니다. 편무도병은 무도병의 한 유형으로, 일반적으로 한 쪽 팔 및/또는 한 쪽 다리의 폭력적이고 비자발적인 휘두르는 듯한 움직임과 관련됩니다. 무도병보다 움직임이 크고 격렬합니다.

  • 무도병은 노인이나 임신 여성에게서 자체 발달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무도병과 무정위운동은 다른 장애의 증상입니다.

  • 무도병과 무정위운동은 동시에 발생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비트는 행동과 춤을 추는 듯한 움직임을 유발합니다.

  • 편무도병은 신체의 한 쪽 편에 있는 사지(다리보다는 주로 팔)에서 발병하며 거칠게 해당 사지를 휘두르는 듯한 움직임을 유발합니다.

  • 무도병과 무정위운동의 경우, 항정신병제 약물로, 원인을 치료하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운동 장애 개요 또한 참조.)

무도병과 무정위운동은 무도무정위운동과 함께 일어날 수 있으며, 장애가 아닙니다. 오히려, 이들은 여러 가지 매우 다른 장애의 결과일 수 있는 증상입니다.

원인

무도병과 무정위운동은 뇌의 신경 임펄스로 시작된 의도된(수의적) 운동을 시작하며 부드럽게 하고 조정하는 데 도움을 주는 뇌 부분인 기저핵의 과잉 활동 결과입니다. 대부분의 무도병에서는 기저핵에서 사용되는 기본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의 과잉으로 기저핵이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못하게 됩니다. 도파민 수치를 증가시키거나 도파민에 대한 신경 세포의 민감성을 증가시키는 약물, 다른 물질 및 장애가 무도병 및 무정위운동을 악화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기저핵의 위치

기저핵은 뇌 내부 깊숙한 곳에 위치한 신경 세포의 집합체입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미상핵(얇은 꼬리로 가늘어지는 C자 모양의 구조)

  • 조가비핵

  • 창백핵(조가비핵 옆에 위치)

  • 시상하핵

  • 흑색질

기저핵은 근육 운동을 시작하며 부드럽게 하고, 불수의 운동을 억제하며 자세 변경을 조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무도병 및 무정위운동은 유전성 퇴행성 장애인 헌팅톤병에서 발생합니다. 헌팅톤병은 무도병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퇴행성 장애입니다.

무도병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많은 환자에서 항정신병제지발성 운동장애(예를 들어 입술 및 혀를 오므림 또는 무도무정위운동이 특징임)로 불리는 무도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때때로 무도병은 뚜렷한 이유 없이 노인에게서 발달합니다. 노년 무도병이라는 이 무도병은 입 안 및 입 주변 근육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이 발생하는 경우 의사에게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편무도병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저핵 바로 아래 작은 부위에 영향을 주는 뇌졸중으로 인해 나타납니다 subthalamic nucleus subthalamic nucleus 자발적 운동을 제어하는 데에 도움을 줍니다.

증상

일반적으로 무도병은 손, 발 및 얼굴에 영향을 줍니다. 코를 찡그리거나 눈을 계속하여 빠르게 움직이거나 입 또는 혀를 계속하여 움직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운동은 무작위적이며, 한 근육에서 다음 근육으로 넘어가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이는 춤을 추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운동은 목적적 행위 또는 준목적적 행위에 알아보지 못할 정도로 뒤섞여 때때로 무도병을 식별하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무정위운동은 손과 발에 영향을 줍니다. 종종 느리게 몸부림치는 운동은 특정 위치(자세)에서 사지의 한부분을 잡는 것처럼 일어나며, 지속적이고 물 흐르는 듯이 나타납니다.

무도병과 무정위운동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 운동은 몸부림치거나 춤을 추는 것 같이 보이고 무도병에서보다는 느리나 무정위운동에서보다는 빠릅니다.

편무도병은 몸의 한 쪽에 영향을 줍니다. 팔이 다리보다 더 자주 영향을 받습니다. 편무도병은 사지를 움직이려고 할 때 심하게 내동댕이 칠 수 있으므로, 일시적으로 장애가 있을 수 있습니다. 운동은 억제할 수 없으며 폭력적일 수 있습니다.

진단

  • 의사의 평가

  • 경우에 따라 원인 확인을 위한 검사

무도병, 무정위운동 또는 편무도병의 진단은 증상 및 의사의 관찰에 근거합니다. 또한 의사는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 및 기타 물질을 확인하기 위해 환자가 복용 중인 약물 및 기타 물질에 대해서도 질문합니다.

원인을 식별하기 위해 검사를 실시할 수 있습니다. 이 검사들에는 다음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갑상선 호르몬 및/또는 혈당 수치를 측정하기 위한 혈액 검사

  • 종양 또는 뇌졸중의 증거를 확인하기 위한 자기공명영상(MRI) 또는 컴퓨터 단층촬영(CT) 등의 뇌 영상 검사

  • 때때로 의심되는 원인에 따라 기타 검사

치료

  • 원인 치료

  • 비정상적인 운동 제어를 돕는 약물

갑상성기능항진증 또는 고혈당증 환자에서의 무도병은 일반적으로 해당 장애가 치료되면 완화됩니다. 종종 시덴함 무도병 및 뇌졸중으로 인한 무도병은 치료 없이 점차적으로 진정됩니다. 무도병이 약물이나 기타 물질에 의해 일어나는 경우 약물을 중단하면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무도병이 항상 사라지지는 않습니다.

임신한 여성이 중증 무도병을 앓고 있는 경우, 이들은 임신 중 바르비투르염으로 치료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분만 후 무도병은 완화되며 대개 자연적으로 없어집니다.

무도병 및 무정위운동이 있는 경우, 무도병 완화에 도움이 되는 치료는 무정위운동 완화에도 도움이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도파민의 작용을 차단하는 약물이 비정상적인 운동을 제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약물은 플루페나진, 할로페리돌 및 리스페리돈과 같은 항정신병 약물을 포함합니다. 레세르핀, 듀테트라베나진 및 테트라베나진과 같은 도파민의 방출양을 줄이는 약물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증상이 개선되는 데는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편무도병은 며칠 후면 자체적으로 사라지지만, 때때로 6~8주 동안 지속됩니다. 중증인 경우, 항정신병약으로 치료합니다. 항정신병약이 편무도병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약물이 효과가 없는 경우, 심부 뇌 자극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시술의 경우, 작은 전극이 외과적으로 기저핵에 이식됩니다. 전극은 편무도병의 원인인 것으로 생각되는 기저핵의 특정 부위에 소량의 전기 신호를 보내며 이를 통해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